환경정보
79
중국 온실 산업 현황
중국 시설원예 투자규모 769억 8,400만 위안, 플라스틱 온실 비중 57.5% 차지

시설 농업, 수경 재배, 관광 농업, 정밀 농업 등 새로운 농업 생산 방식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산업 투자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어 2023년 투자 규모가 769.84억 위안(한화 약 15조 원)1)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5.6% 증가함. 이 중 플라스틱 비닐하우스가 57.50%를 차지하며, 나머지 온실 및 기타 시설이 약 42.50%를 차지함


중국 온실 산업 구조, 상류, 중류, 하류로 구성

중국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산업의 상류는 주로 철강, 플라스틱 제품, 유리 등 산업으로 구성됨. 일부 고급 온실은 농업 기계 수요도 높음. 상류 제품의 가격 변동은 기업의 생산 및 경영 능력에 영향을 미침. 하류는 주로 화훼 재배, 과일 재배, 채소 재배 등 응용 분야를 포함



중국 온실 산업 개발 현황

시설 재배 농업은 비시즌 채소와 과일의 공급, 고용 창출, 국가 식량 안보 보장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센서 기술, 컴퓨터 기술, 5G 통신 기술 등의 빠른 발전과 함께 사물인터넷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이 시설 농업을 포함한 현대 농업 생산에 널리 적용되고 보급되고 있으며, 중국의 전통 농업은 현대화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음

중국농업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의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총 면적은 185.53만ha로, 이 중 플라스틱 비닐온실이 67.5%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그다음으로 일광 온실이 29.35%를 차지함. 지역별로 보면, 산둥성의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총 면적이 37.2만ha로 전국의 20.05%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고, 그다음으로 랴오닝성(9.29%)과 장쑤성(9.05%)이 뒤를 이었음. 나머지 성의 비율은 모두 8% 이하임


경쟁 구도 및 향후 전망

현재 중국 내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온실용 비닐 필름의 생산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문화되고 규모화된 생산 기업은 주로 베이징, 상하이, 산둥성 등에 집중되어 있음. 시장에서 고급 제품으로 분류되는 수입 필름은 주로 일본, 이스라엘, 그리스 등에서 들어오며, 최근 몇 년간 중국 온실 산업에서 수입 필름의 수요가 다소 증가했지만 여전히 소규모 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음

미래에는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수요가 증가하며, 사물인터넷 기술이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에 더욱 깊이 적용되면서, 중국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산업은 스마트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됨. 이에 따라 제품 품질도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임. 또한, 중국 내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의 국산화가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해외 의존도가 높은 일부 수입 온실 제품들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더불어, 온실 대형 비닐하우스 산업은 점차 집중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며, 생산 능력과 생산량이 주요 기업들로 집중되어 산업 집중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농작법

2025-01-03

아랍에미리트 축종별 질병 정보
고온 건조 기후에 따른 특정 질병 발생

고온 건조한 기후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환경에 따라 특정한 질병들이 발생하고 있음. 주요 질병으로는 소, 염소, 양 등에서 발병하는 가성우역(Peste des Petits Ruminants, PPR), 브루셀라증(Brucellosis),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양두 및 산양두(Sheep and Goat Pox)이 있으며, 조류에서 주로 발생하는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등이 있음. 이러한 질병들은 전염성이 높아 심하면 폐사에 이르게 할 수 있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이에 따라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가축을 보호하고 식량 안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토후국별 농축산업 기관을 통해 정기적인 예방 접종 캠페인을 하고 농장 내 위생 관리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음

가축질병

2025-01-03

미얀마 시설원예 온실 현황
시설하우스 유형 ① 대나무 비닐하우스 
필름(Film) 및 매트(Mat)류는 구매, 골조재 등은 대나무 활용

미얀마에서 온실 설치 시 농민들이 구매하는 온실자재는 필름과 매트 2가지 제품군에 불과함. 이외 골조재는 직접 대나무를 공수하여 제작하며 기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모성 자재 등으로 약식 형태의 온실을 설치함

시설하우스 유형 ② 방수용 하우스
기본적인 방수 기능만을 고려한 미얀마의 대표적인 시설 하우스

미얀마 주요 영농업체인 코코야오가닉(KOKOYA Organic)은 ‘미얀마 시설 하우스는 매우 단순하며, 온실의 기본적인 온도 유지 기능도 없는 일종의 DIY 형태’라고 강조하고 있음. 실제 미얀마에 설치된 대부분의 시설 하우스는 빗물에 의한 작물 피해 방지만을 위하여, 전체 면이 아닌 상부 면만을 필름으로 감싼 형태로 설치되고 있음. 이러한 미얀마의 시설 하우스는 주로 몬순이 겹치는 장마철에 사용되며 여름에는 분해되어 폐기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매년 발생하는 몬순(Monsoon)으로 인한 폭우 피해
미얀마, 2019년에도 몬순으로 인한 피난자는 3만명 이상으로 산출

몬순은 여름철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겨울철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계절풍을 뜻하는데, 미얀마에는 이 바람이 6-9월에 불며 매년 몬순 강우로 인한 폭우와 홍수 피해로 수십만명의 이재민과 극심한 농산물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미얀마 정부도 이와 같은 상황의 장기화를 우려하여 기후변화 대응책(Tool Kit) 등을 농민들에게 제공하는 스마트기후농업전략(CSA, Climate-Smart Agriculture)을 2015년에 발표함

시설하우스 유형 ③ 고추 건조 온실
온화한 기후로, 따뜻한 온실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미얀마 농업환경
온실의 온도 유지 기능, 고추 건조를 위한 용도로 활용

미얀마는 연중 온화한 기후를 보유하여 온실에 대한 필요성이 높지 않음. 독일의 코베스트로(Covestro)는 이러한 미얀마 기후환경을 고려하여 일반 온실이 아닌 고추 건조 특화 온실 사업을 미얀마 정부와 함께 진행하고 있음. 특히, 만달레이 (Mandaly)주에 공급된 대규모 고추 온실 단지는 지역 주민 16,000명에게 농가 소득 증진과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내츄럴팜프레쉬(Natural Farm Fresh), 미얀마 고추 건조 온실 전문 시공
미얀마 ‘일자리 만들기 & 농민 소득 증가’ 캠페인 등을 통해 정부기구와 협력
내츄럴팜프레쉬는 독일 코베스트로의 고추 건조 온실의 시장성을 높게 평가하여 미얀마 시장의 확장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내츄럴팜프레쉬는 ‘미얀마 지역 농민 의 소득 증가, 일자리 창출, 지속 가능 비즈니스 모델 육성, 음식물 쓰레기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등 고추 건조 온실의 사회적 영향성을 강조하기도 함

시설하우스 유형 ④ 시범 온실 사업
네덜란드 컨소시엄에 의하여 3,000m2 시범 온실 단지 설립

Rijk Zwaan, Priva, Delphy 등 네덜란드 온실 선도기업 참여 2018년 이후, Rijk Zwaan · Kppert, Priva, VEK, Delphy로 구성된 네덜란드 컨소시엄은 미얀마 샨(Shan) 주에 3,000m2 규모의 시범 온실 단지를 시공 및 투자하기 시작함. 미얀마 농민들은 해당 온실에서 네덜란드 원예 전문가들을 통해 농작물 재배와 관련된 훈련 및 교육을 받고 있음. 해당 온실은 주로 피망, 토마토, 상추, 허브 등의 작물을 다루며, 미얀마 대표 소매채널인 씨티마트(City Mart)와 Metro(메트로) 등에 공급되고 있음

네덜란드 온실 시범 단지, 독일 개발기금 투자
온실 재배 작물, 네덜란드를 포함한 중국 및 인도로 수출 타진 네덜란드 6개 기업이 참여한 컨소시엄에 의하여 설립된 시범단지의 투자는 독일 개발기금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미얀마 시장 외 중국 및 인도 등의 수출 활동도 고려되고 있음


농작법

2025-01-03

호주 주요 농업지역 파종/수확 시즌
파종 시기에 앞서 제품 유통

호주 농부들은 대체로 작물 파종을 준비하거나 파종하는 시기에 비료를 많이 구매하며,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농가의 경우에는 대체로 1~2번에 걸쳐 많은 양을 구매하여 일 년 내내 사용하는 소비패턴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표적 작물의 파종 시기에 앞서 제품을 시장에 유통해야 함 호주의 계절은 대략 봄(9~11월), 여름(12~2월), 가을(3~5월), 겨울(6~8월)로 구분되는데, 밀, 보리와 같은 곡물 재배 농가의 경우 파종기와 수확기가 명확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의 비료를 구매하는 경향이 강함. 이러한 농가들은 대체로 가을 시즌에 많은 양의 비료를 구매하고, 필요 시 비료를 추가로 구매하는데 그로 인해 9월경 다시 비료 수요가 커짐. 농부들의 비료 구매 시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기에 지역 매장에 비료 제품을 선보일 필요가 있음




파종시즌

2024-12-31

태국 가축 질병 발생 현황
태국, 2018년 질병 감염 가축 개체 수 구제역이 가장 많아

2018년 태국에서 발생한 가축 질병 가운데 감염 개체 수가 가장 많았던 질병은 구제역으로, 소와 돼지를 합쳐 총 6,468마리가 감염되어 전체 질병 감염 가축두수의 73.5%를 차지함. 광견병 감염 개체는 총 1,429마리로 뒤를 이었음. 발생장소 기준으로는 광견병이 1,429곳, 구제역이 131곳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구제역과 브루셀라 병의 꾸준한 발병, 돼지 열병의 발생

2021년 발표 기준 새로이 주목해야 할 질병으로는 이전에 발병 사례가 없었던 럼프스킨병과 최근 발병이 급격히 늘어난 돼지생식호흡기증후군(PRRS), 그리고 돼지열병이 있음. 그 외 꾸준한 발병이 이어져오던 브루셀라 병과 구제역중 구제 역의 경우 최근 발병세가 뜸함. 그 외 출혈성 패혈증 등의 경우 발병세가 최근 증가한 것으로보아 언제든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최근 주 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어보임



아프리카 돼지열병, 22년 1월 첫 보고 발생

2018년 이후 중국과 동남아시아 각지에서 유행하고 있는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의 발병 사례가 2022년 1월 첫 보고가 이루어짐. 인접한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에서 확진 사례가 나오면서 태국 역시 영향을 받음. 태국 당국은 미얀마에서 20km 떨어진 치앙라이 북부 지방에서 돼지 2마리가 알 수 없는 이유로 폐사하자, 반경 1km 이내에서 사육하던 돼지 200여 마리를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함. 폐사한 돼지 2마리는 샘플 검사 결과 ASF에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짐. 또한 당국은 77개 주 가운데 24개 주를 ASF 감시 지역으로 지정하고 돼지 및 멧돼지의 이동을 감시 하고 있음4)

떠돌이 개로 인한 광견병 증가 추세

태국 축산개발국(DLD)에 따르면 태국에는 약 800만 마리의 개가 존재하며 이 가운 데 약 86만 마리 이상이 거리를 돌아다니는 ‘떠돌이 개’로 추산됨.5) 불교 신자가 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태국에서는 거리의 개를 함부로 죽이지 않고 먹이를 주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떠돌이 개의 숫자가 계속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광견병 감염 개체 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임. 이를 증명하듯 광견병 사망 사건의 70-95%는 떠 돌이 개에 의해 발생함. 2018년 광견병 감염 개의 숫자는 1,253마리로 2013년 대 비 20배 가까이 증가함. 태국 정부는 2020년까지 광견병 퇴치를 목표로 애완동물 등록 및 무료 예방 접종 등의 캠페인을 시행하고 있음6)



* 4) Reuters, 「Thailand puts 24 provinces on alert in swine fever watch」, 2019-09-27
* 5) Bangkok Post, 「The truth about cats and dogs」, 2018-10-23
* 6) Bangkok Post, 「Govt bites back in bid to quell rabies」, 2019-03-15 

가축질병

2024-12-31

말레이시아 가축 질병 현황
말레이시아, 2010~2019년 소 브루셀라증·구제역 매년 발생

2010년~2019년 말레이시아에서는 소 브루셀라증(Brucella abortus)과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등의 대표적인 소 질병이 매년 발생함. 이 기간 동안 발생한 그 밖의 소 질병으로는 청설병(Bluetongue), 소 전염성 비기관염(Infectious bovine rhinotracheitis), 큐열(Q fever) 등이 있음. 가금류 질병으로는 전염성 F낭병(IBD, Infectious bursal disease), 뉴캐슬병(Newcastle disease)이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음. 또한 선진국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는 광견병(Rabies)의 발생 사례가 2017년 이후 매년 보고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됨


2010~2019년 발생 가축 전염병, 소·가금류 질병 대부분

2010년~2019년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한 가축 전염병을 축종별, 증상 부위 등으로 살펴보면, 소와 가금류의 호흡기·소화기·생식기 질병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가축법정전염병 분류 기준으로 1종에 해당하는 질병 가운데 소 질병은 구제역, 청설병, 우폐역, 가금류 질병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뉴캐슬병이 발생함. 2종 질병으로는 소 브루셀라증, 큐열, 소 아나플라스마증(Bovine anaplasmosis), 소 바베시아증(Bovine babesiosis), 소결핵증(bovine tuberculosis), 광견병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됨

* 가축법정전염병: 한국의 경우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 피해의 정도 및 전염성 등을 고려하여 가축 전염병을 제1종, 제2종, 제3종으로 분류


2017년 이후 사라왁 주에서 광견병 발생 사례 지속

2017년 7월 이후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사라왁 주에서 지속적으로 광견병이 발생하고 있음. 2017년 7월~2020년 8월 기간 발생한 동물 광견병 감염두수는 개 695마리, 고양이 74마리로 총 769마리로 집계됨. 말레이 반도의 페라크 주에서 발생한 5마리, 페를리스(Perlis) 주에서 발생한 2마리를 제외하면 모두 사라왁 주에서 발견된 개체임. 감염이 확인된 개체는 모두 폐사하거나 살처분되었으며, 말레이시아 당국은 광견병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 의심 개체도 살처분함. 이에 따라 같은 기간 개는 2,844마리, 고양이는 123마리가 살처분됨. 말레이시아 수의서비스부(DVS, Department of Veterinary Services)을 비롯한 정부기관은 광견병 근절을 위해 적극적인 예방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시행, 약 16만 3,000마리의 개와 8,700여 마리의 고양이에게 광견병 백신을 접종함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 사례는 보고되지 않아

2020년 8월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 발병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음. 말레이시아는 현재 ASF 발생 국가에서 생산·제조된 돼지고기 및 돼지고기 포함 가공품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상황임. 또한 2019년 12월 인접국인 인도네시아에서 ASF 발생이 확인되면서, 확산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

말레이 반도 일부 지역에서 구제역 매년 발생

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섬은 구제역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은 구제역 청정 지역임. 그러나 말레이 반도의 경우 매년 국지적으로 구제역이 발생하고 있음. 말레이시아 수의서비스부는 태국 국경지대를 통해 검역과 예방접종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불법으로 밀수입된 소를 구제역의 발생 원인으로 지목함. 2019년 말레이시아 당국 관계자는 파항(Pahang), 조호르(Johor), 멜라카(Melaka) 등 주요 소 사육 지역에서 발견된 구제역 감염 소 대부분이 태국과의 접경 지역인 켈란탄(Kelantan) 주를 통해 태국에서 불법으로 들여온 소라고 언급함3)

* 3) Malay Mail, 「Veterinary Dept: Smuggled livestock cause spread in foot and mouth disease」, 2019.05.21



가축질병

2024-12-31

멕시코 파종 및 수확 시즌
보리, 옥수수, 목화, 밀 주요 작물, 여름과 겨울 나누어 파종 

멕시코에서는 보리, 옥수수, 목화, 밀의 경우 여름과 겨울로 나누어 파종 및 수확을 하고 있음. 보리의 경우 여름(4~7월)에 파종하여 9~11월에 수확을 하고, 겨울(11~1월)에 파종하여 4~6월에 수확을 하고 있음. 옥수수의 경우 5~6월 파종 및 10~1월에 수확, 10~12월 파종 및 1~3월경 수확을 하고 있음. 이외 땅콩, 쌀, 수수 등은 주로 4~6월 또는 5~8월에 파종하여, 9~1월 또는 10~12월에 수확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파종시즌

2024-12-30

중국 파종 및 수확 시즌
중국 주요 작물의 파종 및 수확시즌

중국의 주요 농작물 파종 및 수확 시즌은 지역별 기후조건과 농작물의 생장 습성에 따라 결정함. 벼의 경우, 하이난성은 3모작을 하는데 1모작 벼는 2월 말 파종하여 5~6월 초 수확, 2모작 벼는 6월 말~7월 초에 파종하여 9월 중순~10월 초 수확, 3모작 벼는 11월 초에 파종하여 이듬해 2월 수확함

파종시즌

2024-12-30

인도 가축 전염병 현황
인도, 2010~2019년 소 구제역·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매년 발생

2010년~2019년 인도에서는 소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등 대표적인 가축 전염병이 국지적으로 매년 발생함. 또한 소 질병으로는 청설병(Bluetongue), 가성우역(Peste des petits ruminants), 가금류 질병으로는 전염성 F낭병(IBD, Infectious bursal disease), 뉴캐슬병(Newcastle disease)이 매년 국지적인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음. 선진국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는 광견병(Rabies)의 발생 사례가 매년 보고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임


2010~2019년 발생 가축 전염병, 소·가금류 호흡기·소화기·생식기 질병 대부분

2010년~2019년 인도에서 발생한 가축 전염병을 축종별, 증상 부위 등으로 살펴보면, 소와 가금류의 호흡기·소화기·생식기 질병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가축법정전염병 분류 기준으로 1종에 해당하는 질병 가운데 소 질병은 청설병, 구제역, 가성우역, 가금류 질병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뉴캐슬병, 돼지 질병은 돼지열병(Classical swine fever) 등이 발생했음. 2종 질병으로는 소 아나플라스마증 (Bovine anaplasmosis), 소 바베시아병(Bovine babesiosis), 소결핵증(bovine tuberculosis), 가금콜레라(Fowl cholera)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됨


2018년 발생한 인도 소 질병 분석

인도 축산낙농수산업부가 발표한 최신 자료를 토대로, 인도에서 가장 사육두수가 많은 가축인 소에게서 2018년 발생한 질병 통계를 보면 가장 많은 곳에서 발생한 질병은 구제역으로 나타남. 감염두수 역시 구제역이 약 4만 2,000마리로 가장 많았음. 이어 콕시듐병(Coccidiosis), 유방염(Mastitis), 간질증(Fasciolosis), 트리파노소마증(Trypanosomiasis) 순으로 감염두수가 많았음. 그러나 폐사율이 높은 질병은 광견병, 탄저병(Anthrax), 기종저(Black leg), 출혈성패혈증 (Haemorrhagic septicaemia), 소 브루셀라증(Brucellosis) 순으로 나타남



2018년 발생한 인도 가금류 질병 분석

2018년 인도 가금류에서 발생한 질병 가운데 가장 많은 감염두수가 발생한 질병은 만성호흡기병(CRD, chronic respiratory disease)로, 28만 8,000여 마리가 감염됨. 이어 살모넬라병(Salmonellosis), 코라이자(Coryza), 콕시듐병(Coccidiosis), 뉴캐슬병 (Newcastle disease), 전염성 F낭병(IBD) 순으로 감염두수가 많았음. 조류 인플루엔자 감염두수는 3,702마리로 다른 질병에 비해 비교적 적었으나, 살처분 개체 수까지 포함한 폐사율은 99.95%에 달해 가장 높게 나타남. 가금콜레라 폐사율이 52.87%로 뒤를 이었으며, 이어 뉴캐슬병, 계두(Fowl Pox), 전염성 F낭병 순으로 폐사율이 높았음



2020년 아프리카 돼지열병 인도 최초 발생

2019년까지 인도에서는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 발병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인도 북서부 아루나찰프라데시(Arunachal Pradesh), 아삼(Assam) 주 일부 지역에서 2020년 1월 이후 ASF가 발생한 사실이 확인됨. 세계동물보건기구에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4월 동안 2개 주에 걸쳐 ASF가 발생한 지역은 총 11곳으로, 감염 의심두수 1만 920마리 가운데 감염두수는 4,199마리, 폐사두수는 3,701마리로 폐사율은 88.14%로 확인됨. 아삼 주의 ASF 폐사율은 91.40%로 아루나찰프라데시 주보다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가축질병

2024-12-30

우크라이나 가축 질병 발생 현황
우크라이나, 2011~2020년 아프리카돼지열병·광견병 등 지속적 발생

2011~2020년 우크라이나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광견병(Rabies) 및 지방병성소백혈병(Enzootic bovine leukosis)이 꾸준히 발병하고 있음. 소 관련 질병인 소 결핵증(Bovine tuberculosis)은 2000년 초부터 중반까지 지속적인 발병이 보고되었음. 그 밖에 대부분 포유동물에게 감염되는 탄저병(Anthrax) 발병 보고횟수는 4회로, 산발적 발생이 나타나므로 주목할만한 가축 질병임

특히 우크라이나 국가 실험실 진단 및 수의 위생 검사 연구소와 식품안전 및 소비자 보호 서비스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3), 조류 독감4), 럼피스킨병5) 질병 현황을 보고하는 사이트를 운영하므로 관련 정보 확인이 가능함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경우 2021년 9월 기준 발병 횟수가 11회로 예년에 비해 확연히 감소하였음. 올 초부터 총 13,521개의 샘플이 검사를 받았으며 정부가 예방 및 통제 관리를 엄격히 행하며 취약 지약을 집중 관리하고 있음. 현재 우크라이나 헤르손 (Херсонській) 내 두 곳, 루한시크(Луганській), 자포리자(Запорізькій) 및 하르키우(Харківській) 내 각각 한 곳씩 총 다섯 곳이 통제 중임


2020년 아프리카돼지열병 및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발병 보고

2020년 보고된 우크라이나 가축 질병은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임. 해당 질병 모두 한국 가축전염병 분류상 제1종이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대표적인 돼지 및 가금류 전염병임 제2종으로 분류되는 우크라이나 발생 질병에는 탄저병, 광견병, 오제스키병(Aujeszky’s disease), 소 결핵증, 가금콜레라(Fowl cholera), 추백리(Pullorum disease), 가금 티푸스(Fowl typhoid)가 있으며, 이 중 광견병, 소 결핵증은 우크라이나 주요 질병으로 꼽힘 제3종에 분류되는 질병에는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지방병성소백혈병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광견병과 함께 우크라이나 내 발병 빈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함 
가축질병

2024-12-30